컴퓨터도 전화도 없던 시절, 소식을 전할 유일한 수단이었던 우체통. <br /> <br />1993년 전국에 5만7천 개가 넘었지만, 지금은 8천여 개만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세월의 흐름을 따라잡기 위해 우체통이 40년 만에 변신을 꾀합니다. <br /> <br />크기가 두 배 넘게 커졌고, 소재도 플라스틱에서 철제 강판으로, 더 튼튼하고 친환경적으로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에는 봉투만 넣을 수 있었지만, 투함구 크기도 키워서 우체국 2호 상자 크기 소포도 넣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포는 우체통에 있는 QR코드를 이용해 사전 접수하면 됩니다. <br /> <br />가장 큰 차이는 폐의약품과 커피 캡슐 수거를 위한 '에코' 투함구가 새로 생긴 것입니다. <br /> <br />물약은 샐 우려가 있어 안 되고, 가루나 알약만 봉투로 밀봉해 넣으면 됩니다. <br /> <br />커피 캡슐은 커피 찌꺼기를 따로 버린 뒤, 알루미늄 캡슐만 봉투에 담아 넣습니다. <br /> <br />투함구가 6배 넘게 커지고, 용도도 다양해지면서 걱정되는 부분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연순 / 광화문우체국 우편물류과장 : 쓰레기 투함이 늘어나지 않을까 염려되는 부분은 있습니다. 담배꽁초 등 오물 투기로 인해 우편물이 훼손될 경우 벌금 등이 부과될 수 있는 점을 유의하셔서….] <br /> <br />우정사업본부는 서울 종로와 강남 90여 곳을 시작으로, 새 우체통을 내년까지 천여 곳에 확대 설치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장아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ㅣ이현오 <br />디자인ㅣ김진호 <br />자막뉴스ㅣ이미영, 고현주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21808460831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